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톡톡

해외 도시 이름 영어로 쓰는 법 총정리

by notes1439 2025. 7. 17.
반응형

 

해외여행 준비, 유학 서류 작성, 혹은 비즈니스 이메일을 보낼 때 '이 도시 이름, 영어로 어떻게 써야 하지?' 하고 막막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특히 'seoul'인지 'Seoul'인지, 'busan'인지 'Busan'인지처럼 간단해 보이는 부분에서 실수가 잦은데요.

 

이런 작은 표기 오류 하나가 여러분의 전문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사실 해외 도시 이름을 영어로 쓰는 법에는 명확한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 규칙들만 제대로 알면 앞으로 헷갈릴 일 없이 자신감 있게 영문 표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수많은 콘텐츠를 다뤄온 전문가로서, 여러분이 가장 헷갈려 하는 부분들을 콕콕 집어 명쾌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해외 도시 이름 영어
해외 도시 이름 영어

 

해외 도시 이름 영어 표기법 핵심 요약

구분 영어 표기법 예시 비고
도시 이름 Seoul, Busan, New York 첫 글자는 무조건 대문자
약어 SUWON (수원), JFK (존 F. 케네디 공항) ICAO/IATA 등 국제 표준 참고
직역 금지 서울 → Capital City (X) 공식 표기는 현지 고유명사 사용
복합 지명 New York, Los Angeles 띄어쓰기 또는 하이픈 사용
기타 지리적 이름 Mount Everest, Pacific Ocean 산, 강, 바다 등도 첫 글자 대문자

 

1. 가장 기본! 고유명사 대문자 규칙

영어 글쓰기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규칙입니다. 바로 도시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는 문장의 어느 위치에 있든 반드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한 스타일 가이드가 아니라, 일반 명사와 고유한 존재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문법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I live in seoul.'은 틀린 표현이며, 'I live in Seoul.'이라고 써야 올바릅니다. 이는 Paris, London, New York, Tokyo 등 세계 모든 도시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 규칙 하나만 지켜도 글의 격식이 한 단계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공식적인 문서에서 이 실수를 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니 꼭 기억해두세요!

 

2. 한국 도시 이름, 로마자 표기법 따르면 OK

그렇다면 우리나라 도시 이름은 어떻게 영어로 표기할까요? 정답은 '국립국어원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것입니다. 이것이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영문 표기 표준입니다. 예를 들어, 부산은 'Busan', 대구는 'Daegu', 광주는 'Gwangju'로 표기합니다.

과거에는 'Pusan'처럼 다른 표기법이 혼용되기도 했지만, 2000년에 현재의 표기법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따라서 해외에 보내는 서류나 공식적인 자료에는 현재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네이버나 다음 지도에서 영문 지도를 확인하거나,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가장 정확한 공식 표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해외 도시 이름 영어로 쓰는 법의 한국 버전 핵심입니다.

 

3. 뉴욕? New York? 띄어쓰기와 하이픈의 모든 것

도시 이름이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될 때 띄어쓰기나 하이픈(-) 사용법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기를 그대로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예를 들어, 'New York', 'Los Angeles', 'Hong Kong'처럼 띄어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것을 잊지 마세요.

하이픈은 주로 두 단어가 합쳐져 하나의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되지만, 도시 이름에서는 흔치 않습니다. 다만 'St. Louis' (Saint Louis)처럼 약어와 함께 쓰이거나, 특정 지역 표기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한국 지명의 경우,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독립문(Dongnimmun)'처럼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행정구역 단위를 표기할 때는 'Gyeonggi-do'처럼 하이픈을 붙여 표기하기도 합니다.

 

4. 절대 금물! 도시 이름, 마음대로 직역하지 마세요

가끔 창의성을 발휘해 도시 이름을 영어 뜻풀이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을 'Capital City'로, 부산을 'Cauldron Mountain'으로 쓰는 식이죠. 재미있는 표현일 수는 있으나, 이는 공식적인 표기법이 아니며 오히려 엄청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도시 이름은 그 자체로 고유한 브랜드이자 식별 기호입니다. 전 세계 사람들은 'Seoul'이라는 소리와 철자를 듣고 대한민국의 수도를 떠올리지, 'Capital City'를 떠올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현지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이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은 '해외 도시 이름 영어로' 표기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5. 공항 코드처럼 약어로 써도 될까?

여행 관련 대화나 비공식적인 글에서는 도시 약어를 흔히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뉴욕은 'NYC(New York City)', 로스앤젤레스는 'LA'로 표기하죠. 인천 국제공항은 'ICN', 김포는 'GMP'라는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코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약어는 특정 맥락(항공, 물류, 비공식 대화)에서는 매우 유용하지만, 공식적인 문서나 일반적인 글에서는 전체 이름(Full Name)을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논문이나 공식 보고서에 'I traveled from ICN to LA.'라고 쓰는 것보다는 'I traveled from Incheon to Los Angeles.'라고 쓰는 것이 훨씬 명확하고 격식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6. 도시 너머, 산과 강 이름도 대문자로!

대문자 규칙은 비단 도시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거의 모든 고유명사에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산(Mount Everest), 강(the Han River), 바다(Pacific Ocean), 호수(Lake Superior), 사막(Sahara Desert) 등 모두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또한, 국가(Korea), 국적(Korean), 언어(English), 민족(African American) 등 사람 및 문화와 관련된 고유명사도 항상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이처럼 대문자 사용 범위를 넓게 이해하고 있으면, 영문 글쓰기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자주묻는질문 Q&A

Q1: '경기도', '서울시' 같은 행정구역 단위는 어떻게 쓰나요?

A: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행정 구역 단위는 붙임표(-)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소문자로 씁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는 'Gyeonggi-do', 서울시는 'Seoul-si', 종로구는 'Jongno-gu'로 표기합니다. 다만, 국제적으로는 도시 이름만 단독으로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예: Seoul, not Seoul-si)

Q2: St. Louis처럼 이름에 점(.)이 들어가는 경우는 뭔가요?

A: 'St.'는 'Saint(성인)'의 약어입니다. 이처럼 특정 단어의 약어가 포함된 지명은 그 관례를 그대로 따릅니다. 예를 들어 'Fort'를 줄여 'Ft. Worth'라고 쓰기도 합니다. 이 역시 고유명사의 일부이므로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Q3: 파리는 Paris인데, 왜 도쿄는 Tokyo인가요? 현지 발음과 다른 경우가 있나요?

A: 네, 많습니다. 영어권에서 오랫동안 굳어진 표기(Exonym)를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로마는 현지 발음과 비슷한 'Roma'가 아닌 영어식 표기 'Rome'을 사용하고, 독일의 뮌헨은 'München'이 아닌 'Munich'을 사용합니다. 'Tokyo'도 마찬가지로 영어권에서 굳어진 표기입니다.

Q4: 문서 종류에 따라 도시 이름 표기법이 달라지나요?

A: 기본적인 규칙(대문자, 공식 명칭 사용)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학술 논문(APA, MLA 스타일 등)이나 특정 기관의 보고서는 자체적인 표기 가이드라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정구역 단위를 모두 표기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양식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Q5: 옛날 지명, 예를 들어 한양은 어떻게 표기하나요?

A: 역사적인 맥락에서 옛 지명을 사용할 때는 해당 시기의 명칭을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적어주면 됩니다. 한양은 'Hanyang'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단, 현재의 서울을 지칭하는 것이라면 혼동을 피하기 위해 'Seoul (formerly Hanyang)'과 같이 부연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Q6: 하이픈(-)은 정확히 어떨 때 사용하나요?

A: 한국 지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Gyeonggi-do'처럼 행정구역 단위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Sino-Korean(한중의)'처럼 두 지역/문화가 결합된 형용사를 만들 때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도시 이름 자체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Q7: 모든 도시 이름이 현지 발음대로 표기되는 것은 아닌가요?

A: 아닙니다. 앞서 'Tokyo', 'Rome'의 예처럼, 영어권에서 역사적으로 사용해 온 이름이 있다면 그 이름을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지어 발음을 존중하는 추세가 강해지고는 있지만, 이미 널리 굳어진 이름은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Q8: 영어 논문 작성 시 도시 이름 표기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논문에서는 정확성이 생명입니다. 따라서 도시 이름은 반드시 공식적인 전체 이름(Full name)으로 표기하고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야 합니다. LA, NYC 같은 약어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참고문헌이나 각주에 표기할 때는 해당 학문 분야의 인용 스타일(APA, MLA, Chicago 등)을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Q9: the를 붙이는 도시 이름도 있나요? (예: the Hague)

A: 네,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헤이그(The Hague)가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는 지명의 일부로 'The'가 포함된 경우로, 고유명사처럼 항상 대문자로 시작하며 함께 써주어야 합니다. 이외에도 영국의 'The Bronx' (뉴욕의 자치구) 등이 있습니다.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므로 해당 도시의 공식 명칭을 확인해야 합니다.

Q10: 로마자 표기법이 나중에 개정되면 바뀐 표기법을 따라야 하나요?

A: 네, 그렇습니다. 공식적인 표기법은 정부의 고시에 따르는 것이 원칙입니다. 만약 로마자 표기법이 개정된다면, 그 이후에 작성되는 공식 문서나 제작물에는 새로운 표기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 등의 공신력 있는 기관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